목차
줄거리
등장인물
결말

줄거리
1997년 대한민국. 국가부도의 위기를 일주일 앞두고 서로 다른 길을 간 사람들의 이야기를 다룬 영화이다.
97년 한국 다들 경제호황이라 생각하고 있었다.
하지만 몇몇 사람들은 곧 엄청난 경제적 위기가 닥칠것이라 예상했다.
영화의 시작은 미국 월가 증권사 직원 컴퓨터 화면에 미국의 모든 투자자들은 지금 즉시 한국을 탈출하라는 메시지가 띄워지면서 시작된다.
그 시각 고려종합금융 신입사원들의 인솔을 맡은 윤정학은 신입사원들에게 자신의 회사에 오라면서 돈봉투를 건네주고있었다. 그러던 중 버스 라디오에서 한국 경제가 낙관적이라는 예측과는 달리 실물 현업에서 일하는 사람들은 비관적이라는 이웃들의 사연을 듣고 뭔가 이상하다 여기고 회사를 퇴사하고 작은 투자회사를 차리게 된다.
한편 한국은행 총장실에서는 한국은행 총장이 한시현 팀장이 작성한 보고서를 보면서 정신이 나간 얼굴로 한시현팀장을 전화로 소환한다. 한시현팀장은 한행총장과 경제부 수석을 만나서 사안의 심각성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누고 브리핑을 한다. 하지만 재정국 차관은 시종일관 한시현 팀장을 무시하는 태도로 일관하고 환율이 미친듯이 오르고 국가부도가 될 수도 있다는 그녀의 말을 무시한다.
다른 곳에서는 작은공장을 운영하고 있는 갑수의 모습이 나온다. 그는 공장을 운영하면서 항상 현금거래만 해왔었다. 하지만 백화점으로부터 접시 5억원어치의 계약체결을 제안받았다. 그런데 어음으로 제안을 받았고 현금거래만 하던 갑수는 불안하였지만 제안을 수락하게 되어 처음으로 큰 빚을 내어 발주를 하게 되었다.
다시 윤정학의 화면으로 돌아가서 그는 투자설명회를 열어 투자자들에게 한국이 위기이기 때문에 반대로 베팅을 해야된다고 설명하지만 아무도 그의 말을 믿지않고 떠난다. 단 두사람을 제외하고 노신사와 압구정 오렌지족 2명
2명은 그의 말을 믿고 큰돈을 윤정학에게 투자하기로 결정한다. 한편 재정국차관과 한국은행 한시현팀장은 서로 계속하여 대립하고있다. 재정국차관은 imf에 도움을 요청하여 빨리 문제를 해결해야한다. 한시현팀장은 imf에 빚을 지게되면 경제가 더욱 어려워질 것이다 다른 대안을 찾아야된다는 문제로 대립을 하고 있다.
현업에서 근무하는 갑수가 어음을 받아 계약했던 은행이 부도가 나서 파산을하게 되고 갑수는 한순간에 많은 빚을 지게 된다.
결국 국가에 반대되는 베팅을 하였던 윤정학과 그의 투자자들은 큰돈을 벌고 윤정학은 투자회사를 더욱 크게 운영하게된다. 국가는 imf에 도움을 요청하게 되어 많은 빚을 지고 제재를 받게된다. 서민들은 회사에서 구조조정을 당하거나 자신이 운영하던 작은 회사들이 줄줄이 파산을 하게 된다.

등장인물
한시현(김혜수)
한국은행팀장으로서 당시 여성은 높은자리에 오르기 힘들던 사회상에서 능력만으로 팀장자리에 오른 팀장이다.
경제위기가 올 것을 가장 먼저 발견하고 보고하지만
재정국차관에 막혀 신속한 대처를 하지 못하게 된다.
윤정학(유아인)
금융회사 직원으로 판단이 빨라서 사회에서 국가경제가 낙관적이라는 것과 달리 현업종사자들이 힘들어하는 것을 캐치하여 퇴사한뒤 투자자들을 모아서 한국에 역으로 베팅하여 큰 돈을 만진다. 이후 큰돈을 벌게되어 회사를 더욱더 크게 키우는 계기가 된다. 큰돈을 벌었지만
같은 한국인들이 얼마나 많은 피해를 입은지 알아서 마냥 기뻐하지만은 않는다.
갑수(허준호)
한국의 우리 서민의 모습을 대변한 캐릭터로 경제위기가 올때 큰 돈을 빌려 베팅했다가 거래처인 미도파 백화점이 망하게 되면서 큰 위기에 빠지게 된다. 이후 다른사람들을 못믿고 자기자신만 믿고 생활하게된다.
재정국차관(조우진)
전형적인 남존여비사상에 물들어 있는 사람으로 여자는
큰일을 할 수 없다라고 생각한다. 한시현팀장이 찾아왔을 때도 여자가 하는말이 귀담아 듣고 있지 않다가 대처가 늦어지게 된다.

결말
한국인이라면 누구나 알고 있듯이 97년이후 한국은 imf경제금융위기가 발생하여 큰 어려움을 겪게 된다.
imf이후 한국은 정규직이 없어지고 비정규직이 생겨나고 사회가 팍팍해진다. 영화를 통해 당시 우리 대한민국이 얼마나 위기였고 사회적으로 분위기가 얼마나 많이 변하였는지를 체감할 수 있는 영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