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영화 콘크리트 유토피아 줄거리 등장인물 결말

by junjuo 2023. 11. 1.

목차

  • 줄거리
  • 등장인물
  • 여담

줄거리

콘크리트 유토피아는 2023년 8월 9 일 개봉한 영화로 대지진 후 사람들의 모습을 그린 영화이다.

갑작스러운 재해로 인하여 서울이 무너지고 화재에 휩싸였다. 많은 사람들이 죽거나 다치고 사회가 붕괴되었다. 영화는 붕괴된 서울속에서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의 모습을 묘사하였다.
신혼부부인 민성(박서준)과 영화(박보영)는 풍족하지는 않지만 대출을 받아서 아파트 집을 구입하였다. 그렇게 자가를 마련하여 열심히 빚을 갚으며 살아가고 있었다. 그러던 어느날 갑자기 지진이 일어나고 건물이 무너지고 불에 휩싸였다. 
많은 건물이 무너져 내렸지만 다행스럽게도 민성과 영화의 아파트는 멀쩡하게 남아있었다.
처음에는 아파트 구성원들은 다른지역이나 다른 아파트 사람들을 받아주고 같이재워주고 먹고살면서 사이좋게 지냈다 민성과 영화도 모녀를 받아주어 음식도 제공하고 따뜻한 방도 제공한다 하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식량은 점점 부족해지고 외부인과 아파트 주민들 간에 문제가 생기기 시작했고 다툼이 생기기 시작하자 아파트 내부인들끼리 모여 회의를 진행하였다.금애는 부녀회장으로서 이전에 큰 활약을 한 영탁을 대표를 뽑고 외부인들을 몰아내었다. 이후 주민들은 아파트를 지키고, 외부에서 다른사람들의 식량을 뺏어서 구해오고하면서 자신들만의 왕국을 만들어나갔다. 그러던 어느날 외부의 공격을 받고 내부에서 분열이 일어나게되어 그들만의 왕국이 무너지고 많은 주민들이 다치거나 죽었다. 이후에 민성을 잃은 영화는 외부로 떠돌다가 다른 사람들에게 구조되었는데 거기서는 외부인과의 차별이 없이 생활하는 모습을 보며 눈물을 흘리며 영화는 끝이난다.


등장인물


영탁 - 배우 이병헌
사기를 당해 사기꾼에게 돈을 돌려받기위해 아파트를 찾아왔다가 집주인을 없애고 주민인척 생활하다가 아파트 대표의 자리까지 올라왔다. 자신의 정체를 숨기고 실제로 자신의 돈 대신 사기꾼에게 아파트를 받았다고 생각하여 집주인이라고 생각하며 생활한다. 하지만 옆집에 살던 소녀가 돌아오고 그녀가 비밀을 알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불안해 하다가 결국엔 사고를 친다.


민성 - 배우 박서준
소방관으로 신혼부부생활을 즐기면서 빚을 내어 구입한 아파트 빚을 갚기위해 열심히 돈을 모으면서 살던 착실한 청년이었으나 재해가 일어난뒤. 처음에는 외부인에 대해서 보살피려하더니 시간이 지날수록 이병헌 및 다른 아파트 구성원들처럼 외부인을 약탈의 대상 적으로 인식하고 점점 폭력적으로 변한다.

어떻게보면 이기적으로 변한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가정을 지키고 아파틀르 지키기 위해서 자신의 이상을 버리고

현실에 집중해서 노력하는 사람이다.


영화 - 배우 박보영
간호사로 서준과 신혼부부생활을 즐기며 알뜰살뜰 살아가고 있었으나 재해가 일어나고 많은 것들이 변했다. 서준과는 다르게 끝까지 외부인을 배척하지 않으며 외부인들을 지키려 한다. 서준이 죽고 아파트왕국이 무너지고 외부로 나와 다른사람들과 어울리며 아파트주민들이 지키려던 것이 얼마나 의미없는지를 깨닫는다.

평화를 원하지만 어떻게 보면 다른사람들은 구성원들을 지키기위해 목숨까지 걸고 싸우는데 평화만을 외치는 모습은 대책이 없어 보이는 느낌도 준다.


금애 - 배우 김선영

아들과 둘이 살면서 악착같이 살아온 사람이다. 
아파트 부녀회장으로 가장 외부인을 반대하던 사람들 중 한명이다. 이병헌의 활약을 보고 그를 대장으로 추대하고 내부에서 아파트 주민들을 통제하는 역할을 한다. 후에 자신의 아들이 봉변을 당하고 정신을 놓게된다.


여담


이병헌의 연기가 가장 돋보였던 영화였다.
근래 개봉했던 한국영화중에서 몇개 안되는 극장에서 볼만한 영화이다.

재난이 일어나고 아파트 주민들이 모여서 동대표를 뽑고 앞으로의 계획을 의논 할때 싸움이 나는데

집주인인지 전세인지로 나누는 모습, 외부인과 내부인을 나누는모습 

나가서 사냥을 할 수 있는사람과 도움이 되지못하는 사람으로 나누는모습등 사람들은 점점 서로를 갈라치기 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마지막 장면에서 외부 사람들이 다같이 서로 나누면서 지내는 모습을 보여주는데 과연 식량이 없고 생명이 위협받는 

상황에서도 그럴 수 있을지 의문이 들었다.